커피의 역사
커피의 역사
경제사에서 소금, 후추, 설탕 등이 끼친 영향은 역사를 바꿀 정도로 대단했다. 이 상품들 대부분이 유대인에 의해 유통되었다는 공통점도 갖고 있다. 커피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근대 초의 커피는 유대인에 의해 최초로 대량 재배되어 유통되었다. 지금도 커피 유통의 중심에는 유대인들이 있다.
오늘날 세계 무역에서 커피는 원유 다음으로 물동량이 크다. 현재 커피의 연간 거래량이 750만 톤으로 하루 소비량은 27억 잔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커피가 유럽에 선보인 초기에는 너무 비싸 일반인들은 마시기 힘들었다. 프랑스의 루이 14세(Louis XIV)는 딸의 커피 값으로 요즘 돈으로 환산해 1만 5천 달러를 치렀을 정도다. 커피가 경제사에 등장한 과정을 보자.
525년 에티오피아가 예멘 지방을 침략한 시기에 아프리카가 원산인 커피가 아라비아로 건너갔다고 역사가들은 보고 있다. 커피라는 이름 자체가 에티오피아 커피 산지인 카파(Kaffa)라는 지역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또 다른 설(說)은 이슬람교의 창시자인 무함마드(Muhammad)가 졸음의 고통을 이기려 애쓸 때 가브리엘 대천사가 나타나 주고 갔다는 이야기도 있다. 가브리엘 대천사가 주었다는 비약의 이름이 바로 카베(카와)였다.
처음에는 약으로 쓰이다
9세기에 최초로 이슬람 율법학자들이 커피를 먹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당시 커피는 음료로 마셨던 것이 아니라 밤 기도 시간에 졸음을 쫓는 약으로 쓰였다. 그래서 그들은 커피 열매나 씨앗을 볶지 않은 상태에서 씹어 먹었다고 한다. 이렇게 약으로 쓰인 귀한 열매인 까닭에 이슬람권에서는 커피 씨앗의 유출을 막았다. 아랍인들은 커피를 지키기 위해 싹이 터서 발아할 수 있는 종자의 반출은 막고, 대신 씨앗을 끓이거나 볶아서 유럽행 배에 선적했다. 이는 커피 가공법이 발달하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된다.
그 뒤 커피 열매를 씹어 먹는 대신, 그 씨앗을 볶아서 그것을 갈아 마시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이후 이슬람 율법학자들은 밤늦게까지 기도하며 신과 합일을 이루고자 ‘각성제’인 커피를 마셨다. 이슬람 사원에서만 한정적으로 음용되던 커피는 11세기 일반 민중에까지 널리 애용되었다.
출처 : "세상을 바꾼 다섯가지 상품 이야기" 저자 홍익희